ABOUT ME

-

  • 유니티 다운로드 및 시작하기
    유니티(Unity)/유니티 시작하기 2019. 2. 3. 12:32

    해당 티스토리 페이지는 필자가 유니티 C# 개발을 하면서 학습한 내용들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페이지입니다 !

    - 틀린 부분이 있거나, 수정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 해당 내용을 공유 or 퍼가도 좋으나, 출처를 꼭 명시해주세요 !

    - 해당 글의 모든 저작권은 Chameleon Studio에 있습니다.

    -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썸네일 이미지입니다.유니티 다운로드 및 시작


    안녕하세요 ! 카멜레온입니다 ㅎㅎ


    오늘은 유니티를 어떻게 다운받고 어떻게 시작하는 지에 대해 간략히 알아봅시다 !


    처음 유니티를 시작하려면 많이 낯설고 어색한데요 ㅎㅎ


    저도 처음 독학으로 시작했을 때 그랬답니다!


    다운로드를 받고 시작하기까지의 과정을 알아봅시다 !



    유니티 코리아 검색 이미지유니티 코리아 검색



    우선, 구글 검색창에 '유니티 코리아'를 검색합니다 !


    그리고 홈페이지를 클릭해 들어갑니다 !



    유니티 코리아 홈페이지 이미지유니티 코리아 홈페이지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이러한 화면이 나올텐데요.


    좌측에 시작하기를 클릭합니다.



    링크 이미지링크 누르면 나오는 이미지



    여기까지 들어오는 링크(https://store.unity.com/kr)


    시작하기를 클릭해서 들어오면, 3가지 버전의 구입항목이 나옵니다.


    Personal 버전은 일반 사람들이 무료로 유니티를 경험해보고 유니티를 통해 개발해보는 버전입니다.


    유니티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 기본적인 것들을 제공합니다.


    Plus 버전은 Personal 버전보다 더 많은 서비스들을 제공합니다. (월 25~35 달러)


    게임 개발에 유용한 1년 단위의 유니티 게임 Dev 코스를 제공하여 유니티 공부를 도와줍니다. (인터넷 강의 느낌)


    또 유니티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25기가를 제공합니다. (유저 데이터 저장 및 멀티플레이 게임 구현 시 유용한 도구)


    Pro 버전은 팀 단위로 게임 개발을 할 때 유용합니다. (월 120달러)


    팀원들이 만든 게임 과정들을 공유하고 동기화하기에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문 제작을 위한 고급 지원이 포함됩니다.


    유니티 Plus와 Pro 버전은 에셋스토어에서 판매하는 제품들을 20% 할인해준다고 합니다.

    (저는 그냥 무료버전을 사용하고 있는데, 플러그인 하나 구매할 때마다 20% 할인이 부러워 Plus의 고민을 잠깐 했답니다..)


    하지만, Personal 버전(무료버전)으로 기본적인 게임제작에 있어서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초기 개발자들에게 저는 Personal 버전을 추천합니다 !

    (좀 더 깊고 빠른 실력향상을 위하시는 분은 인터넷 강의가 포함된 Plus를 선택하세요 !)


    이 글에선 Personal 버전 설치를 다룹니다.


    Try Personal을 클릭하시면,,



    다운받기 이미지다운받기



    이러한 화면이 나옵니다.


    체크 박스에 V체크 하시고 다운을 받아봅시다 !


    저는 맥북이기에 Mac OS X용으로 설치했지만, 윈도우 체제이신 분들은 유니티 허브를 다운받아주세요 !



    설치 이미지1



    다운 받은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이와 같은 상자가 나옵니다.


    Unity Download Assistant를 클릭합니다.



    설치 이미지2



    소개창입니다.


    Continue 클릭하고,


    License 창에서도 Continue 클릭합니다.


    동의하냐고 물어보는 창이 나올텐데요.


    동의하고 Continue 계속해서 눌러줍니다.



    설치 이미지3



    여기까지 왔다면 설치준비가 다 된 것입니다.


    위 4개를 클릭해주시고,


    저는 맥에서 iOS빌드만 할 것이기 때문에 iOS Build Support만 체크해두었습니다.


    여러분들은 Android 빌드도 하시겠다 하시면 Android Build Supprot를 체크해주세요.


    나머지 아래에 있는 부분들은 다른 플랫폼(tvOS, Linux, WebGL, Facebook 등)의 개발도 필요하신 분들만 체크해주세요.



    설치 이미지4



    Continue를 누르면, 이렇게 설치가 되게 됩니다.


    저는 한 10분 정도 걸린 것 같네요 ㅎㅎ


    설치 이미지5



    드디어 !! 기다리던 유니티 설치가 끝나고 !!


    Launch Unity를 체크해주시고 Close를 눌러줍니다.



    로그인 이미지로그인



    유니티가 켜지면 로그인을 하라는 창이 나오는데요.


    유니티 회원가입을 하기 위해선 저기 파란글씨로 보이는 create one.을 눌러서 가입해줘야합니다.


    하지만, 저는 귀찮으니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했습니다 ㅎㅎ



    로그인 완료 이미지로그인 완료



    로그인을 하면, 프로젝트 창이 나오게 됩니다.


    저는 기존에 개발했던 프로젝트가 2개 있었기때문에 2개가 등록되서 나오는데요.


    개발 중인 프로젝트가 없는 경우 빈화면이 나옵니다.


    우측 상단에 New를 클릭해줍니다.



    프로젝트 만들기 이미지프로젝트 만들기



    New를 클릭하니, 왼쪽부터 프로젝트 이름, 프로젝트 저장 위치, 로그인한 계정 순으로 나옵니다.


    저는 프로젝트 이름을 ABCD로 해놓고, 위치를 바탕화면(Desktop)으로 설정해놨습니다.


    옛날에는 프로젝트 네임을 한글로 하면 유니티에서 씬 저장 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서 저장이 안되었습니다.


    요즘의 유니티 버전에서는 한글 패치를 했는지 안 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저는 영어로 하는 습관이 되어서 영문 제목을 넣고 있습니다 ㅎㅎ


    오른쪽 내용은 유니티 개발을 2D로 할 것인지, 3D로 할 것인지 선택


    유니티에서 제공하는 Analytics를 사용할 것인지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 선택을 하는 것입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체크되어있는 3D를 선택했고, 유니티 Analytics On을 했습니다.


    유니티 Analytics는 유니티가 제공해주는 분석 시스템인데 유저 유입, 유저 인 앱 구매 현황 등등을 기록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저는 원래 유니티 Analytics를 잘 사용하진 않지만, 선택을 하건 하지 않건 큰 차이는 없습니다 ㅎㅎ


    다 설정하셨다면 Create project를 클릭해줍니다.



    프로젝트 실행 이미지프로젝트 실행



    자! 이렇게해서 우리의 개발을 책임질 프로젝트가 열렸습니다 ㅎㅎ


    이제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씬을 저장을 해봐야겠지요?



    프로젝트 씬 저장 이미지프로젝트 씬 저장



    Ctrl + S를 누르면 저장창이 뜹니다.


    원하는 씬 이름을 설정하시고 저장해줍니다.


    저는 간단하게 firstscene로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씬 저장 완료프로젝트 씬 저장 완료



    자, 씬도 저장되었겠다 이제 험난한 개발을 시작해볼까요?


    여기까지 '유니티 다운로드 및 시작하기'였습니다.


    생각보다 오래 걸렸는데요 ㅎㅎ


    시작이 반이라고 이제 하얀 도화지에 여러분들의 아이디어를 그려보세요 !


    다음 글은 '유니티 플랫폼 변경'을 알아보겠습니다.


    Chameleon Studio가 만든 게임하러가기


    <젤랑점핑>

    안드로이드- market://details?id=com.Cameleon.TangTangBall

    IOS- itms-apps://itunes.apple.com/app/id1429522379



    <크러쉬팡>

    안드로이드- market://details?id=com.Chameleon.CrushPang 

    IOS- itms-apps://itunes.apple.com/app/id1450109331


    댓글

Designed by Tistory.